교육과학기술부는 포스텍 안진흥 교수(사진) 연구팀이 벼의 OsNAS3 유전자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철분과 아연 함량이 대폭 증가돼, 빈혈치료 등이 가능한 기능성 쌀을 생산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세계 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전 세계 인구의 30%(20억명 이상)가 철분결핍성 빈혈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개발도상국의 어린이 및 임산부가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세계 인구의 1/3이 아연의 섭취가 부족하며, 이로 인해 면역력이 떨어지고, 어린이의 성장이 저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저명 학술지인 미국 국립과학원회보 온라인판에 게재돼,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종래 벼 종자의 철분 함량 강화를 위한 연구는 철 저장에 관여하는 페리틴 등과 같은 외부 유전자 도입을 통한 과다발현이 주로 시도돼왔다.

 

반면 이번 연구는 유전자 활성을 높여주는 DNA조각인 인핸서를 벼에 삽입, 철과 아연의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OsNAS3 유전자의 기능을 활성화 시켜 종자의 철과 아연의 함량이 증가하고, 쥐를 이용한 동물 실험에서 빈혈 회복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연구진이 개발한 종자는 야생형(동진벼)과 비교 시, 철분은 2.9, 아연은 2.2배 증가했으며, 종자의 철 형태 분석 결과, 흡수율이 떨어진다고 알려진 피틱산(Phytic acid)에 결합한 철의 양은 동일했으나, 니코티아니민과 결합한 철의 양이 종자에서 7배가량 증가했다.

 

또 빈혈 유발 쥐에 위 종자를 섭취시키면, 동진벼 종자를 먹인 그룹에 비해 빈혈로부터의 회복이 현저하게 빠르게 진행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이번 연구 결과를 이용해 철과 아연이 강화 된 벼 품종을 개발 한다면 전 세계적인 문제인 철과 아연 결핍으로 인한 빈혈, 면역력 저하 등의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