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의사회장들이 비상대책위원회 정상화를 위해 사퇴카드를 꺼내들었다.

시도회장들은 추무진 회장에게 비대위원장을 맡아줄 것을 요구하는 동시에, 추 회장이 이를 거부하면 비대위를 사퇴하기로 결정했다.

시도회장들은 추무진 회장이 투쟁의 전면에 서지 않고 현안에 대해 소극적으로 대처했기 때문에 이러한 결정을 내렸다고 한다.

한 시도회장은 “의사회장이 ‘이렇게 합시다’라고 결정해야 하는 것 아닌가? 추무진 회장은 ‘비대위에서 결정됐어요’라고 말한다.”라고 지적했다.

다른 시도회장도 “비대위의 논의사항이 집행부 상임이사회의 논의사항과 매우 유사하다.”라며 비대위를 ‘옥상옥’이라고 비판했다. 옥상옥은 지붕위에 지붕을 거듭 얹는다는 뜻으로 어떤 일을 쓸데없이 거듭하는 것을 일컫는다.

시도회장들은 추무진 회장이 중심을 잡고 회원들을 이끌어줘야 한다면서 비대위 사퇴결정은 추무진 회장을 돕기 위한 카드라고 거듭 강조했다.

하지만 시도회장들이 비대위 사퇴를 결정한 것은 극단적인 선택이 아닌지 묻고 싶다. 

비대위는 지난 2월 7일 첫 회의를 시작으로 6개월 가량 활동해 왔다.

비대위원은 추무진 회장과 공동위원장 4인, 간사 1인, 집행부 2인, 시도의사회장 14인, 각과개원의협의회 및 산하기관 21인 등 총 43명으로 구성돼 있다.

현병기 경기의사회장과 김주형 전북의사회장도 공동위원장으로 참여하고 있으므로 16개 시도회장이 모두 참여하고 있다.

비대위는 매주 실행위원회를 열고 현안을 논의했으며, 실행위원회를 통과한 안건을 전체회의에서 재논의했다.

지적하고 싶은 것은 이 과정에서 시도회장들이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충분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이미 시도회장들도 자신들이 비대위를 사퇴할 경우 비대위의 기능이 정지될 것이라고 밝힌 것이 이를 증명한다.

추무진 회장이 다소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했다 하더라도, 16개 시도회장들이 의견을 통일해 힘을 실어 줬다면 ‘비대위’ 라는 명칭에 걸맞은 활동을 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지난 1월 25일 비대위 구성 및 운영을 의결한 임시대의원총회의 요구사항은 ‘추무진 회장과 16개 시도회장들이 힘을 모아 규제기요틴을 저지하라’는 것이었다.

때문에 추 회장이 위원장을 맡지 않을 경우 비대위를 사퇴하기로 한 시도회장들의 결정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때마침 현병기 공동위원장도 현재 비대위체제는 바람직하지 않다며 10월에 개최되는 차기 회의에 공론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사견임을 전제로 비대위 규모는 5명 가량이 적당하다고도 했다.

지금이라도 비대위가 제기능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정상궤도에 오르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