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세동 조기발견을 위해 65세 이상 선별검사 필요성이 제기됐다. 또, 지나치게 낮게 책정된 심전도 수가도 현실화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한부정맥학회는 지난 8일 서울스퀘어 중회의실2에서 개최한 ‘심방세동 환자의 의료기관 간 협력 향상을 위한 공개토론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

한경일 대한임상순환기학회 정책부회장(서울내과)은 “심전도 수가가 현실화되고, 재판독, 의뢰(컨설트) 수가가 생성되도록 한 목소리를 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또, 심전도 진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컴퓨터 심전도 자동 판독은 체계적으로 재판독이 돼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사회ㆍ경제적 지지와 제도가 뒷받침 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특히 현시점에서 임상적 관점은 심방세동 조기발견을 위해 65세 이상 일괄적 심전도 측정보다는 증상/위험도 관련 선별적 측정을 제안했다.

김진배 대한부정맥학회 정책이사(경희의료원)도 “심방세동은 가장 흔한 심장질환 중 하나로, 무증상의 심방세동이 전체 심방세동의 1/3을 차지한다.”라며, “무증상의 심방세동도 스트로크에 대한 위험도는 증상을 동반한 심방세동과 동일하다. 심방세동의 선별검사는 허혈성 뇌졸중의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라고 강조했다.

김 이사는 “비용 효율적이며 이용하기 편한 검사로서 전체 인구에 대한 선별검사가 필요하다.”면서, “선별검사는 검사로 인해 심방세동의 진단과 더불어 치료의 향상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라고 전했다.

그는 “심방세동으로 뇌졸중이 되면 평생 고생한다.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라며, 정부가 고혈압 정책에 투자해 고혈압 인지율과 치료율이 올라간 사례를 제시했다. 국가가 어떤 정책으로 어디에 투자하냐에 따라 만성질환이 변할 수 있다는 걸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예라는 설명이다.

김 이사는 “65세 이상 국가검진 선별검사가 어렵다면 75세 이상이라도 하자는게 학회 의견이다.”라며, “검진은 에비던스도 중요하지만, 국가적 이니셔티브가 있으면 심방세동도 환자를 조기 발견해 치료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위내시경 검진도 에비던스는 없지만 국가검진에 들어가 있다. 전세계적으로 유례없는 경우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정보영 대한부정맥학회 학술이사(신촌세브란스병원)는 “오는 2060년에는 인구의 6%, 거의 230만명이 심방세동을 겪게 될 것이다.”라며, “대학병원은 약물 투여, 부정맥시술에 집중하고 고혈압, 당뇨 등 나머지 관리는 개인의원에서 도워줘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정 이사는 또, 치매 예방과 항응고요법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심방세동 환자에게 화학요법을 하면 치매 발생도 감소한다고 설명했다.

정 이사는 “심방세동은 진단 초기에 사망, 뇌졸중, 출혈 발생이 높다.”라며, “처음 1년 이내에 이 같은 것들이 집중되므로 조금이라도 빨리 찾아서 치료하면 도움줄 수 있다. 따라서 심방세동 스크리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라고 전했다.

그는 1차 의료기관과 3차의료기관의 연계 활성을 위해 대한부정맥학회와 대한임상순한기학의 심전도 항응고요법 공동교육을 확대하고, 1차의료기관 인증제도 운영을 제안했다.

개원의가 2~3시간 교육을 받으면 항응고제 ‘NOAC’을 쓸 수 있게 인증하는 식으로, 인증받은 의원은 학회 홈페이지에 올리는 방안등을 고려중이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