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소득별ㆍ지역별 건강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해 선진국인 핀란드의 ‘심혈관 질환 예방 프로젝트’를 참고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보험연구원이 지난 14일 발간한 ‘고령화리뷰’에서 안소영 연구원은 ‘소득별ㆍ지역별 건강불평등과 핀란드의 개선 노력’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건강불평등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에서도 건강불평등 문제가 존재한다.

국제건강형평성학회(International Society for Equity in Health)의 정의에 따르면, ‘건강불평등(Health Inequality)’이란 사회적, 경제적 혹은 지리적으로 구분되는 인구집단들 사이에서 체계적이고 잠재적으로 개선 가능한 한 가지 이상의 건강 측면에서 차이가 존재하는 상태를 뜻한다.

안소영 연구원은 “전 세계적으로 신자유주의의 영향에 따른 건강불평등 문제가 심화되고 있으며, 특히 사회경제적 불평등으로 인한 사망률 격차는 최근 수십 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라며, “우리나라에서도 학력, 지역, 소득 등과 같은 사회경제적 차이에 따른 건강불평등이 존재하며 이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한국에서도 건강불평등 문제가 심각하며, 지역ㆍ소득 간 차이에 따라 그 격차가 존재한다.

전반적으로 서울특별시, 경기도와 같은 수도권과 광역시에서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이 높은 편이며, 이러한 양상은 성별과 관계없이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2015년 기준 전국 17개 광역시ㆍ도 중 기대수명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특별시(83.3세), 가장 낮은 지역은 전라남도(80.7세)로 두 지역 간 기대수명 차는 2.6세다.

또, 17개 광역시ㆍ도 중 건강수명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특별시(69.7세), 가장 낮은 지역은 경상남도(64.3세)로 두 지역 간 건강수명 차는 5.4세다.

소득별 건강격차를 살펴봤을 때, 2015년 기준 소득 상위 20%와 소득 하위 20% 집단의 소득수준 간 기대수명 격차는 6.59년, 건강수명 격차는 11.33년으로 추정된다.

소득상위 20% 집단과 하위 20% 집단의 기대수명 미래 추이(2016~2024년)*자료: 한국건강형평성학회
소득상위 20% 집단과 하위 20% 집단의 기대수명 미래 추이(2016~2024년)*자료: 한국건강형평성학회

안 연구원은 심지어 같은 지역 내에서도 소득에 따른 건강불평등이 존재한다고 전했다.

부산 복지법인 ‘우리마을’과 부산시가 사상구 학장동, 동구 범일 5동, 영도구 동삼3동을 대상으로 1년 동안 국내 첫 마을 단위 건강 역학조사를 실시한 결과, 월 소득이 100만원 이하인 저소득층은 소득이 100만원을 넘는 집단보다 3배 가까이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 유병률(각각 3.8%, 11.2%)이 높았다.

안 연구원은 건강불평등의 성공적 해결방안 사례로 핀란드의 ‘심혈관질환 예방 프로젝트’를 제시했다.

1970년까지 핀란드는 낙농업 발전으로 인한 과도한 고지방 유제품, 육류 섭취 등으로 심혈관질환 발생률이 매우 높았으나, 1972년 핀란드 노스 카렐리아(North Karelia)에서 처음으로 심혈관계질환 예방 프로젝트를 실시한 이후 20년 동안 심장병 유병률을 80% 감소시켰다.

프로젝트의 주 골자는 ‘일상생활 여건의 근본적 개선’ 및 ‘자원의 공평한 분배를 통한 건강한 환경 조성’이다.

구체적으로 국민이 많이 사용하는 버터 대체 식품으로 식물성 기름과 마가린을 개발했으며, 국가차원에서 주요산업이었던 버터 낙농업을 베리 작물산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재정지원이 있었다.

안 연구원은 이 사례에 대해 “세계보건기구 (WHO)의 보고서인 ‘한 세대 격차 줄이기(Closing the gap in a generation)’와 비슷한 해결방안을 가지고 있다.”라고 평가했다.

해당 보고서는 ▲일상생활여건의 개선 ▲권력, 돈, 자원의 불공평한 분배 개선 ▲문제점 이해 및 행동지침에 대한 평가의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안 연구원은 “한국은 사회경제적 환경에 따른 건강불평등 문제가 있다.”라며, “이는 핀란드의 심혈관 질병 예방 프로젝트 사례와 같이 일상생활여건의 근본적 개선과 공평한 분배를 통한 건강한 환경 조성과 같은 실천 가능한 정책을 통해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