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회원과의 대화에 회원은 없었다
②가증스럽다…참을 수 없는 가벼움
③부산의사회 성명서 사실일까 
④황당한 일반회원 윤리위 제소 결정
⑤의혹해명 한다더니 답변 회피
⑥경만호 회장, 소통 위해 노력했나?
⑦원격의료, 일차의료 전담의제 논란
⑧부족했던 대화, 끝장토론 가능성?

경만호 회장이 전국을 돌며 진행한 ‘회원과의 대화’는 약 3주간의 일정을 마무리한 채 30일 모두 끝이 났다.

회원과의 대화는 경만호 회장의 방문을 거부한 울산과 전남을 제외한 14개 시도의사회에서 진행됐으며 평균 50여명의 회원이 참석했다.

경기도의 경우 KBS 취재진을 피해 현장을 떠난 경만호 회장을 대신해 문정림 공보이사가 회원과의 대화를 진행했다.

회원과의 대화에서 주요 이슈는 ▲리베이트 쌍벌제 ▲수가 및 일차의료 살리기 ▲비리 의혹과 잇따른 실언에 따른 사퇴 요구 등 크게 세가지로 요약된다.

회원들은 국회에서 리베이트 쌍벌제가 191대0이라는 표수로 통과된 치욕을 안긴 경만호 회장을 강도높게 비판했다.

경만호 회장은 쌍벌제를 막기위해 복지부와 국회에서 최선의 노력을 다했지만 국민여론이 일방적이어서 설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상임이사회에서 쌍벌제 관련 대책회의를 단 한차례도 개최하지 않은 사실이 밝혀지면서 의협이 쌍벌제에 미온적으로 대처한 것으로 드러났다.

수가협상에서 약제비 절감을 연동해 수가계약을 한 경만호 집행부에 대한 비판도 거셌다.

올해도 약제비 절감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약속한 데 대해 개원가의 불만은 높다.

복제약값이 높고, 약제비를 정부가 결정하는 현 구조에서 의료기관의 약제비 절감과 보험재정과는 관련이 적다는 게 개원가의 입장이다.

하지만 경만호 회장은 지난 10년동안 수가 3% 인상을 이끌어낸 것은 지난해가 유일하다며 성과라고 강조했다.

복지부는 일차의료기관을 살리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복지부가 일차의료 활성화의 전제조건으로 제시한 전담의제는 주치의제도의 변환을 걱정한 개원가의 반대에 부딪혔다.

경만호 회장과 송우철 총무이사는 ‘회원과의 대화’ 기간 내내 전담의제는 주치의제와 관련이 없다고 회원들을 설득했다.

일반회원 사이에서 경만호 회장이 복지부 이중대 같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

경만호 회장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서는 해명이 부족했다는 평가다.

1억원 공금 횡령 의혹에 대해 감사단에 보고했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던 경만호 회장은 ‘회원과의 대화’가 끝나가는 시점에 “개인통장으로 받은 것은 법에 문제가 되나 보다”라고 말했다.

경만호 회장은 대외업무추진비 사용내역과 골프채 구입 건 등 민감한 질문에 대해서는 답변할 수 없다며 피해갔다.

지역마다 경만호 회장의 무능을 이유로 사퇴를 촉구하는 요구가 많았다. 검찰에서 기소되면 회장직에서 물러나겠냐는 질문도 나왔다.

경만호 회장은 전체 회원이 원하면 고려해 보겠지만 일부의 사퇴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답했다. 검찰 기소 관련 사퇴 질문에는 결정난 후 얘기해도 늦지 않다고 불쾌해 했다.

경만호 회장이 야심차게 진행한 ‘회원과의 대화’를 두고, 지역의사회 임원과의 대화로 마무리 됐다는 평가가 많다. 지역마다 설명회에 참석한 회원들은 대부분 지역 임원이었고, 일반회원의 참여는 저조했다.

경만호 회장은 설명회 첫날인 ‘서울회원과의 대화’에서 당초 회원이 참가하기 쉬운 시간에 3시간 끝장 토론을 할 계획이었는데 서울시의사회가 오전으로 시간을 잡아 아쉽다고 발언했다.

하지만 이후 부산의사회 설명회에 참석한 일반회원들이 서울에서 전체 회원이 참가하는 간담회를 열어 끝장토론을 하자고 요구했지만 경만호 회장은 지역의사회 일정을 이유로 거부했다.

지역의사회 일정이 마무리 됐지만 일반회원들은 여전히 경만호 회장과의 대화에 목말라 하고 있다.

현재 복지부는 개원가에서 반대하는 선택의원제 실행을 공언하고 있다. 의사협회가 일반회원 모두에게 개방하는 끝장토론을 마련해 의견 수렴에 나설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