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세이프약국 시범사업에 대한 모니터링을 소홀히 한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4월부터 도봉구, 강서구, 구로구, 동작구 등 4개구의 시간적ㆍ지리적 주민접근성이 좋은 48개 약국을 세이프약국으로 선정하고 오는 9월까지 일정으로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시는 세이프 약국을 통해 ▲약력관리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금연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주민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주민들의 건강을 챙긴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세이프약국 시범사업을 시작한 지 석 달이 지났지만 세이프약국에 대한 시 차원의 모니터링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약무팀 관계자는 “시작한지 얼마 안돼 (모니터링을) 구체적으로 한 것은 없다.”며, “세이프약국 시범사업은 몇 달 했다고 해서 (효과가) 드러나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세이프약국이 약력관리비를 제대로 지급받고 있는지 확인 여부도 불투명한 상태다.

서울시는 세이프약국에 대해 금연상담과 자살예방 상담에는 별도의 상담료를 지급하지 않는 대신, 포괄적 약력관리는 상담인당 1만 2,000원의 상담료를 지급하도록 하고 있다.

시 약무팀 관계자는 “세이프약국 시범사업은 시 전체 사업이 아니라 일부 자치구로 내려보낸 사업이기 때문에 해당 자치구가 알아서 해야 한다.”며, “관리비를 지급했는지 안 했는지, 언제 지급하는지 등은 모두 자치구가 알아서 결정할 부분이다.”고 설명했다.

시는 별도의 중간 발표없이 오는 9월 시범사업이 종료되면 최종 결과를 연말에 보고하겠다는 입장이다.

시 약무팀 관계자는 “지금 상황에서 (서울시가) 무엇인가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며, “공식적으로는 연말까지 한번에 몰아서 세이프약국에 대한 최종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를 지켜보는 의료계 일각에서는 자칫 소홀한 관리로 인해 세이프약국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피해를 보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시선도 있다.

A 개원의는 “세이프약국은 실효성과 안전성 등에 있어 의료계의 우려를 안고 시작한 사업인 만큼 철저한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며, “특히, 자살 상담이나 금연 상담이 얼마나 실시되고 있는지에 대한 모니터링은 물론 상담 결과에 대한 추적까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개원의는 “시범사업에 대한 중간 평가와 그 결과를 하지 않으려는 서울시의 의도가 궁금하다.”며, “혹시 예상 외로 실적이 좋게 나오지 않자 숨기려는 것이 아닌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