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범정부 차원에서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 영업을 단속하겠다고 발표함에 따라 제약업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 정부가 불법 리베이트 단속을 강화한 계기가 모 제약회사의 리베이트 조사의뢰 때문이라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업계의 민심까지 흉흉해지고 있다.

복지부 노길상 보건의료정책관은 지난 12일 브리핑을 통해 제약사가 쌍벌제 시행 이전에 적극적으로 리베이트를 제공해 매출 신장을 추구하고 있다는 동향이 파악돼 정부차원의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업계는 정부가 파악중인 불법 리베이트 제공 의혹 제약사는 최근 매출이 크게 증가한 일부 중소 제약사일 거라고 예상하고 있다.

문제는 복지부에 이들 제약사의 리베이트 여부를 조사 의뢰한 곳이 업계 선두회사 중 하나라는 설이다.

최근 매출과 영업이익이 급감하자 중소 제약사의 성장을 견제하기 위해 벌였다는 것이다.

특히 이 회사는 과거 리베이트 영업으로 급성장한 회사로 평가 받는 곳이어서 업계의 시선이 곱지 않다.

이러한 제약사들간 보이지 않는 흠집내기는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올해 4월 리베이트 쌍벌제가 국회를 통과할 당시 이를 주도한 제약사로 ‘유한안동대(유한양행, 한미약품, 안국약품, 동아제약, 대웅제약)’가 이슈가 됐다.

이후 3월 전재희 장관과 면담을 가진 ‘한중일동생(한미약품, 중외제약, 일성신약, 동아제약, LG생명과학)’이 다시 입방아에 오르내렸다.

당시 국내 제약사들은 첫번째 쌍벌오적이 입방아에 오르자 상대적으로 이미지가 좋은 제약사를 맨 앞에 내세워 흠집내기에 나섰다며, 외자사에 의혹을 보냈다.

리베이트 영업을 제한하면 의사들이 상대적으로 오리지널약 처방을 늘릴 것이고, 이로 인해 외자사의 매출과 이익이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 때문이었다.

반면 외자사는 리베이트 쌍벌제는 국내사가 요구해 놓고, 왜 딴소리냐고 맞받아쳤다.

결국 이후 93개 제약사가 대통령에게 ‘약가제도 개선 탄원서’를 보낸 것이 밝혀지면서 사실상 쌍벌제는 한 두 회사가 아닌 모든 제약사의 합작품이라는 결론이 났다.

탄원서에는 제약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리베이트를 근절해 투명성을 확보해야 하고, 리베이트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리베이트 공여자와 수수자에 대한 쌍벌제도의 시행이 절실하다는 주장이 담겨 있다.

오는 11월 리베이트 쌍벌제가 시행되기 전까지 정부의 리베이트 단속 강화와 제약사간의 치열한 생존경쟁이 맞물리면서 제약업계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