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의 수술여부를 결정하는데 핵심 역할을 담당하면서도 인원이 적어 의료계 내에서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병리과가 누리꾼에게도 관심을 끌지 못한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7일 병리과 전공의들이 집단 파업에 돌입하던 날 포털 다음에 ‘우울해…병리과 전공의 전국 파업’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지만 한달이 지난 6일 현재까지 글을 조회한 사람은 146명에 불과하고, 댓글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 개원의사가 의료민영화와 관련해서 작성한 글이 수천건의 조회수와 수백건의 댓글이 달린 것과 비교하면 극히 대조적이다.

글쓴이는 “병리전공하는 의사인데 뭐 하는 사람인지도 잘 모르시겠죠”라고 묻고, “병원에서 암이 의심되어서 조직 떼면 그거 검사하는 의사입니다”라고 자신을 소개했다.

이 전공의는 “하는 일이 어떤 지 다들 몰라서 그냥 환자는 안보는 과라고 지인들에게 설명한다”고 말했다.

이 전공의는 “이번에 국가에서 수가를 일방적으로 인하했다”며, “이젠 재료비도 안 나오는데 전공의들이 파업 한답니다”라고 파업 소식을 전했다.

그는 “파업하면 국민 정서에 욕 먹을 텐데 걱정이다”며, 병리과 전공의 사퇴 소식을 다룬 기사를 덧붙였다.

한편 병리과 전공의들은 지난달 1일 건정심이 병리조직검사 수가를 대폭 인하하기로 결정한 데 반발, 집단 파업에 들어갔다.

하지만 복지부는 병리조직검사 수가 조정은 2008년 병리조직검사 수가 재분류(5개→13개) 및 적출범위 산정 기준 개선 당시 1년 동안 청구현황을 모니터링해 자연증가 수준 이상 재정소요가 증가한 경우 수가를 재조정하기로 한 데 따른 후속조치였다고 주장했다.

복지부는 “병리조직검사 수가 조정은 관련 학회와의 사전협의(4회), 전문가회의 및 설명회(2회) 및 상대가치기획단 회의 등 의견수렴 및 공론화 과정을 거쳐 최종 결정된 것이다”고 협의 과정을 공개했다.

결국 병리전공의들은 5일 만에 병원으로 복귀했고, 병리학회는 수차례 임시총회와 비상회의, 워크숍을 통해 논의를 계속하다 결국 복지부와 병리 수가 연구 및 협상을 계속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병리의사들의 불만은 건강보험 재정지출에서 병리학 검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0.55% 밖에 차지하지 않는데다가, 병리 검사는 수가 외에는 진료비, 약제비, 처치료 등이 전무해 순수 노동력에 의존하다는 데 있다.

특히 산부인과 자연분만 수가 50% 인상과 함께 결정되면서 기초의학을 무시하는 폭력적인 결정으로 받아들이는 정서가 형성됐다.

현재 병리과는 병리검사 적정 수가를 위한 연구에 들어갔고, 병리과 체질 개선, 병리 수가에 따른 장기적 대응방안을 마련중인 상태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