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과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이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과 소방청(청장 남화영)은 13일 제12차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을 열고, 2022년 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환자 3만여 명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급작스럽게 심장 활동이 심각하게 저하되거나 멈춘 상태인 환자를 말한다.

급성심장정지 환자 발생 현황을 보면, 2022년 119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 3만 5,018명(인구 10만명당 68.3명) 중 남자(63.9%)가 여자(36.1%)보다 많았고, 연령이 높을수록 발생 환자가 많은 경향을 보였다. 특히 70세 이상의 발생이 전체의 53.9%를 차지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심근경색, 부정맥, 뇌졸중 등 질병에 의한 발생이 전체의 78.3%를 차지했으며, 추락, 운수사고 등 질병 외인으로 인한 발생이 20.9%로 나타났다.

급성심장정지 원인 및 질병 세부 원인(2022)
급성심장정지 원인 및 질병 세부 원인(2022)

장소별로는 공공장소보다 비공공장소에서 많이 발생(64.5%)했는데, 특히 가정에서의 발생이 1만 5,587건(44.7%)으로 가장 많았다.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은 증가했다.

119구급대가 이송한 환자 중 병원을 방문해 의무기록조사까지 완료한 환자는 3만 4,848명이었으며, 이 중 2,701명이 생존하여 생존율은 7.8%로 전년도(7.3%) 보다 0.5%p 개선됐다.

또한,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뇌기능이 회복된 환자는 1,774명으로, 뇌기능회복률(5.1%)도 전년도(4.4%)보다 0.7%p 개선됐다.

급성심장정지 생존율 및 뇌기능회복률(2012~2022)
급성심장정지 생존율 및 뇌기능회복률(2012~2022)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지속 증가했다.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는 29.3%로 전년(28.8%) 대비 0.5%p 증가했으며,  매년 꾸준히 증가(’12년 6.9% → ’17년 21.0% → ’22년 29.3%)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 생존율은 12.2%, 그렇지 않은 경우는 5.9%로, 시행 시 생존율이 2.1배 높았다.

질병관리청은 일반인 심폐소생술 확대를 위해, 2020년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개정 시 코로나19 등 감염 우려 상황에서의 심폐소생술 시행방법을 포함했고, 실습교육 형태의 표준교육과정 운영이 위축되는 시기에 심폐소생술 비대면 교육자료를 개발ㆍ배포했다.

한편,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질병관리청 손상예방관리과 배원초 과장의 ‘2022년 급성심장정지조사 결과 발표’를 시작으로, 미국 에모리 의과대학 브라이언 맥널리(Bryan McNally) 교수가 ‘미국 심장정지 조사사업 현황’을 소개했고,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성필 교수는 ‘한국 심폐소생술 20년 성과 및 발전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또한, 급성심장정지 대응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급성심장정지 관련 바이오마커 개발 소개’, ‘어린이ㆍ청소년에 대한 심폐소생술 교육 개선 방안’, ‘심정지 생존자의 장기 예후’에 대한 분석 보고가 이어졌다.

이어진 현장 119구급대원의 발표에서는 119상황실에서의 효과적인 심폐소생술 안내 방법, 심폐소생술 관련 장비의 활용 방법, 심정지 관련 주요 사업 현황과 발전 방안 등에 대하여 현장 경험을 공유하고 토론하는 것으로 이날 심포지엄이 마무리됐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일반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생존율이 약 2배 이상 높아지기 때문에, 급성심장정지 환자 목격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라며, “심폐소생술을 누구나 쉽게 배우고 익힐 수 있도록 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보급하는 데 더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