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방역강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주민의 생활에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8일 박능후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 주재로 정부세종청사 영상회의실에서 관계부처 및 17개 시ㆍ도와 함께 ▲수도권 이동량 분석 결과 ▲검체채취 키트 수급 안정화 계획 ▲생활 속 거리 두기 점검 및 홍보 현황 등을 논의했다.

▽수도권 이동량 분석 결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수도권 방역강화 조치(5월 29일~6월 14일)에 따른 수도권 주민 이동량 변동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휴대폰 이동량 ▲카드매출 자료 ▲대중교통(지하철, 버스) 이용량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수도권 방역강화 조치 이후 처음 맞이한 주말(5월 30일~5월 31일)의 수도권 주민 이동량은 직전 주말(5월 23일~5월 24일) 대비 약 99%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방역강화 조치 후 첫 주말의 휴대폰 이동량은 그 전 주말 대비 0.2% 하락(약 6만 3,000건 감소)했다.

방역강화 조치 후 첫 주말의 카드 매출액은 그 전 주말 대비 1.7% 하락(약 229억 원 감소)했다.

방역강화 조치 후 첫 주말의 서울지역 버스와 지하철 이용객은 그 전 주말 대비 1.3% 하락(약 14만 5,000명 감소)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수도권 이동량 분석 결과, 방역 강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주민의 생활에 큰 변화가 없었다고 밝혔다.

수도권 지역에서 산발적인 집단감염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만큼 수도권 주민은 경각심을 갖고 ▲외출 및 모임 자제 ▲다중이용시설 방문 지양 ▲람 간 거리 두기 준수 등, 방역 당국의 요청을 철저하게 이행해 달라고 당부했다.

▽검체채취 도구 수급 안정화 계획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오늘 회의에서 검체채취 키트 수급 안정화 계획을 논의했다.

현재 국내 검체채취 키트 일일 공급량은 약 3만 4,000개 수준으로 최근 일일 수요량을 충족하고 있으나,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대규모 집단감염 발생, 생산업체 일시폐쇄(Shut-down) 등의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검체채취 키트 수급 안정화 방안’을 마련했다.

우선 정부는 국내 생산량과 수요량을 주1회 모니터링해 키트 부족 여부를 사전에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업체에 추가 생산 증가를 요청할 계획이다.

보건소는 검사량이 폭증하더라도 키트가 부족해지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검체채취 키트를 사전에 충분하게 비축해 관리하기로 했다.

보건소는 2주간 사용 가능한 물량을 비축하고, 정부는 35만개 키트를 별도 비축해 지역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비상상황에 대비할 계획이다.

또한, 국내 주요 생산업체에 대해서 금주 중 관계부처 합동으로 방역 상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검체채취 키트 생산업체는 방역에 필수적인 물품을 공급하는 만큼 해당 시설에 대한 방역 현장점검이 매우 중요하므로 ▲근무자 마스크 착용 ▲작업장ㆍ식당ㆍ휴게장소 내 거리 두기 ▲장비ㆍ설비에 대한 소독 확인 등을 진행해 집단감염 발생 위험을 사전에 차단할 예정이다.

아울러 키트 생산업체를 다각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검체채취 키트를 포함한 방역기기 R&D(2020년~2022년, 연간 12억원)를 추진 중이며, 기업애로해소센터를 운영하며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각 지방자치단체에게 보건소가 최소 2주간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물량을 비축해 달라고 요청했으며, 이번 검체채취 키트 수급 안정화 계획이 원활한 진단검사 수행에 기여하게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생활 속 거리 두기 점검 및 홍보 현황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오늘 회의에서 생활 속 거리 두기에 대한 현장점검 및 홍보 현황에 대해 논의했다.

지난 7일 각 지방자치단체는 종교시설 5,655개소, 유흥시설 3,512개소 등 41개 분야 총 1만 6,306개 시설을 점검해 마스크 미착용, 거리 두기 미준수 등 방역수칙 위반사례 53건을 확인하고 행정지도를 했다.

광주시에서는 개척교회를 중심으로 현장점검을 했고, 대전시는 현충원 참배객 수송 차량 전담자를 지정해 참배객들의 마스크 착용을 지도했다.

클럽ㆍ감성주점 등 유흥시설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ㆍ경찰ㆍ식품의약품안전처가 합동(135개반, 574명)으로 심야시간(22시∼02시) 특별점검을 실시해 3,701개 시설을 점검했다.

점검 결과, 1,046개소(28%)가 영업 중지 중임을 확인했고, 영업 중인 업소 4,228개소 중에서 출입자명부 미작성, 발열체크 미흡한 사례 6건이 발견(광주, 강원)돼 이에 대한 행정지도를 실시했다.

▽자가격리자 관리 현황
7일 오후 6시 기준, 3,251명이 신규 자가격리 대상자로 등록됐고 2,672명이 해제돼 확진자와 접촉하거나 해외에서 입국한 후 자가격리 중인 사람은 총 4만 2,500명이다.

자택 격리자의 관리를 위해 필요한 ‘자가격리자 안전관리 앱’은 92.4% 설치됐다.

7일에는 무단이탈자 1명이 2차 진단검사 후 귀가하던 중 이탈한 사례가 확인돼 계도 조치했다.

지금까지 안심밴드를 착용한 사람은 총 108명이며, 이 중 83명은 자가격리가 해제되어 현재 25명이 안심밴드를 착용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해외입국자나 거처가 없는 자가격리자가 생활하며 자가격리를 하거나 진단검사 결과를 기다릴 수 있도록 16개 시ㆍ도에 79개소(2,519실)의 임시생활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곳에 695명이 입소해 격리 중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앞으로도 정보통신기술(ICT) 등 첨단장비 활용과 유선 감시를 병행해 자가격리자 무단이탈로 지역사회에 감염이 확산되지 않도록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박능후 1차장은 “최근 집단감염의 연쇄적 고리로 작용하는 사례들은 모두 방역수칙이 제대로 준수되지 않았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라며, “일상생활에서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는 것은 거리 두기의 단계와 상관없이 기본적으로 지켜야 하는 핵심 원칙이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