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지역사회 전파가 유력한 현재 상황에서 과학적인 인식과 대응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제기됐다.

전국 코로나19 확진환자 치료 병원 의료진과 전문가로 구성된 ‘코로나19 중앙임상TF’가 국립중앙의료원(원장 정기현) 중앙감염병병원운영센터를 사무국으로 하는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로 확대 개편됐다. 위원장은 오명돈 서울대 교수, 총괄간사는 방지환 중앙감염병병원운영센터장이다.

코로나19의 지역사회 침투 현실화에 따라 방역과 치료를 위한 중앙-지역 행정관리체계의 유기적 작동, 1·2·3차 의료기관의 역할분담, 민ㆍ관 협력 등 새로운 단계의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현 확진 환자 치료기관 중심으로 임시적으로 구성해 기능하던 코로나19 중앙임상TF를 상설조직인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로 격상하고, 전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운영 의료기관까지 참여를 확대한다.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는 주요 임상 경과와 중증도 평가, 진료 지침 개발, 퇴원 기준 마련 등 과정에서 생산되는 과학적 성과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질병관리본부와 의료기관에 최선의 치료자문을 수행한다.

신종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임상 네트워크는 국가 공중보건위기상황 발생 즉시 기능할 수 있도록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운영기관을 중심으로 상시 운영돼야 한다.

코로나19는 타 바이러스 호흡기 감염병에 비해 질병 초기 단계의 바이러스 배출량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며, 질병이 발현하는 임상 증상과 영상의학적 진행 소견이 일치하지 않는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무증상이거나 비교적 증상이 경미해 코로나19 진단을 받기 전에 지역사회 감염과 확산이 가능할 수 있고, 증상이 경미하다 하더라도 환자의 연령이나 기저질환 등을 고려한 임상적 경계가 필요하다.

오명돈 위원장은 “코로나19는 신종 인플루엔자보다는 높고 중동호흡기중후군(MERS)보다는 낮은 치사율을 보일 것으로 추정되며, 고령자 및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 높은 임상적 중증도를 보일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또, “지역사회 전파가 유력한 현 상황에서는 행정ㆍ방역체계 및 의료체계의 정비와 함께 범부처 공중보건기관의 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특히 미국, 영국의 예와 같이 방역체계의 가동과 동시에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적극 나서야 하며, 관련한 국가 차원의 과학기술 대응이 시급하다고 역설했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