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 질환을 만성질환 관리 시범사업에 포함하는 방안이 고려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보건복지부 정경실 보건의료정책과장은 17일 서울그랜드힐튼호텔에서 개최된 ‘100세 시대를 위한 근골격계 건강관리 정책 포럼’에서 주제 발표를 통해 골다공증, 골관절염 등 근골격계 질환이 큰 위험으로 다가오고 있다며, 근골격계 질환도 만성질환 관리사업에 포함해 1차 의료기관에서 관리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경실 과장은 “2017년 기준으로 국내 기대수명은 82.7세로 OECD 평균에 비하면 매우 높지만, 아프지 않은 상태의 건강수명은 65세 정도로 낮다. 평균적으로 아픈 상태로 18년을 지낸다.”라고 지적했다.

정 과장은 “노인 인구 증가는 건강보험 재정과 가계에 위험요인으로 다가온다.”라며, “2018년 기준 최신 통계에 따르면, 건강보험 전체 의료비 78조 중 노인의료비가 31조원으로 40%가 넘는다. 노인 1명의 의료비가 젊은 사람 3명 진료비 정도다.”라고 우려했다.

정 과장은 “결국 노인 의료비 이야기를 하다보면 치료중심으로는 감당이 되지 않는다. 예방과 건강증진 중심으로 정책이 전환돼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정 과장은 “만성질환도 증가해 2025년이면 국민 2명중 1명이 만성질환을 앓게 된다. 현재 빈도가 높은 당뇨병, 고혈압 등 내과계 질환 중심으로 정책이 추진되고 있지만 골다공증과 골관절염 등 근골격계 질환의 빈도도 높아 큰 위협이 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정 과장은 “특히, 근골격계 질환은 상대적으로 인식하는 시기도 늦고, 적극적인 치료도 늦어 노년 생활을 위협한다. 골절이 생기면 사회활동을 못하게 되고 사망의 위험도 높아질 뿐만 아니라 노인성 치매를 증가시켜 적극적으로 조기예방과 조기치료를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정 과장은 근골격계 질환 예방과 조기치료에서 1차 의료기관의 역할을 강조했다.

정 과장은 “현재까지 근골격계 질환 관련해서 정책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 않다.”라며, “근골격계 질환을 1차의료기관에서 관리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정 과장은 “만성질환 관리 시범사업이 정착되면 질환을 확대할 때 정형외과적인 근골격계 질환이 포함돼야 한다.”라면서, “근골격계 질환을 지속 관찰하고 조기 치료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정 과장은 “국민은 대형병원을 선호하다보니 상급병원 중심으로 의료를 이용한다. 최근 의료전달체계 개선 단기대책을 발표했는데, 경증질환은 1ㆍ2차 병원에서 해결하고, 상급종합병원은 중증질환을 치료하는 체계를 갖추는 게 핵심이다.”라고 언급했다.

그는 “근골격계 질환을 전문으로 하는 2차병원, 전문병원이 많아 상급병원과 역할 분담을 고민해야 한다. 앞으로 상급병원에서 정형외과는 어떤 질환을 중심으로 해서 나아가야 할지도 고려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