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가 일차의료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적절한 자원과 조직 활용을 제시했다.

안소영 보험연구원 연구원은 지난 14일 발간된 ‘글로벌 이슈’의 ‘일차의료의 현황 및 과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안 연구원은 “인구 보건 및 총 의료지출 면에서 일차의료의 강화는 국민건강 개선에 기여하며 형평성 및 효율성 측면에서도 이점을 지니고 있다.”라고 말했다.

일차의료의  장점*자료: WHO(2018)5)사례관리는 고객의 건강 및 인적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옵션과 서비스를 계획, 구현, 조정하고 평가하는 여러 기관, 단체 간의 협업 프로세스를 뜻함
일차의료의 장점*자료: WHO(2018)5)사례관리는 고객의 건강 및 인적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옵션과 서비스를 계획, 구현, 조정하고 평가하는 여러 기관, 단체 간의 협업 프로세스를 뜻함

실제로 OECD 18개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국가의 일차의료 시스템의 강화는 사망률과 음(-)의 관계를  보이며, 이차의료에 비해 일차의료의 비용이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WHO(2018)에 의하면, 일차의료인(Primary Care Physicians)은 전문의(Specialists)보다 연속적, 포괄적인 진료를 제공하므로 국민건강을 개선할 가능성이 더 높다. 이로 인해 입원 일수, 응급실 사용 및 의료비 감소 등의 이점도 있다.

이처럼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유럽의 여러 국가에서는 여전히 일차의료가 취약해 만성질환이 높은 수준이다.

2014년에는 일부 만성질환으로 고통 받는 환자의 26%가 권장된 예방검사(Recommended Preventive Tests)를 받지 못했으며, 예방과 질병관리를 통해 피할  수 있는 만성질환에 대한 병원 입원율은(Avoidable Admissions) 여전히 높은 수치다.

2016년 기준 5개 만성질환은 전체 병원입원의 6.1%를  차지했으며, 해당비율은 OECD 국가 평균 8억 3,500만 달러 이상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항생제의 부적절한 사용과 높은 소비는 내성변종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많은  비용과 인명피해를 초래한다.

이에 대해 OECD는 일차의료 강화를 위한 적절한 자원과 조직의 활용을 권고했다.

OECD는 일차의료 활성화를 위한 추가적 투자 및 자원이 요구된다고 전했다. 현재 OECD 국가에서 전체 의료소비의 14%만이 일차의료에 사용되고 있으며, 전체 의사 중 일차의료 인의 비중은 2000년 32%에서 2016년 29%로 감소했다.

이어 기존 일차의료 모델을 능동적, 예방적, 참여적인 접근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참고로 2018년 OECD 국가 중 15개 국가만이 팀 혹은 네트워크 기반의 일차의료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