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현장근거를 기반으로 하는 플랫폼을 만들어 적극 활용해야 한다. 특별한 아이디어가 필요한 게 아니다. 민간의료기관도 보유한 환자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이영성 원장은 14일 의협임시회관에서 열린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제9차 월례세미나에서 ‘미래의료를 대비한 플랫폼 사회와 의료단체의 역할’ 주제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영성 원장은 “대통령이 세계에서 데이터를 잘쓰는 나라가 되자고 강조했다. 진료현장 자료에 근거한 데이터 기반 플랫폼을 적극 운영ㆍ활용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이 원장은 “최근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에 1,840억원이 확정돼, 올해부터 예산이 지원된다. 비교평가 연구를 통해 기존 가이드라인을 바꾸거나 새롭게 만들도록 지원하는 연구비다.”라고 설명했다.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은 의약품ㆍ의료기기 등 인허가 또는 신의료기술평가 이후 의료현장에서 사용되는 의료기술 간 효과를 비교ㆍ평가하고, 의료기술의 근거를 산출하는 공익적 임상연구사업이다.

이 원장은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한 게 아니다. 의사들은 진료현장에서 경험을 통해 얻은 노하우가 있다.”라며, “전국에 있는 의사들이 아이디어 낸 것을 지역에 맞도록 맞춤형으로 바꾸면 지역마다 활용이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예를 들어, 청주지역 개원의사와 대학병원 교수가 결핵환자 또는 자살시도 실패자 등의 치료 경험을 공유할 수 있다. 지역 개원의가 공모해서 제안서를 올리면 보건의료연구원에서 평가 후 지원을 결정한다.”라고 안내했다.

그는 “현장에서 의료의 진료 과정과 결과를 플랫폼 형태로 만들면 학회, 지역의사회 차원에서 활용할 수 있고, 커뮤니티케어에도 얹을 수 있고 치매치료에도 얹을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개원가에서 확보할 수 있는 임상근거자료의 예로 ▲비만영양관리 ▲건강진단 ▲만성질환관리 ▲장애재활 ▲치매 ▲일차의료 등을 제시하면서, “정확한 행위분류를 전제로, 3년 동안 자료가 축적되면 플랫폼화가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 원장은 의료기술 평가와 건강보험 정책결정이 나뉘어 있는 점에 대해 아쉬움을 표했다.

이 원장은 “현재 의료기술평가와 건강보험정책결정이 별도의 기전으로 분리돼 있다.”라며, “의료기술 평가가 끝나면 건강보험 정책결정에 반영되기를 희망하면서 보고서를 쓴다. 보건의료연구원은 의학적이고 기술적인 평가를 하지만 결국 논문 리뷰 수준에서 끝난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호주는 의료기술평가를 하는 사람들이 모두 의사다. 호주 복지부는 의료기술평가에서 통과되면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보험에 등재한다.”라고 예를 들면서 “보건의료연구원도 정책결정에 참여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