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운동성 앨러지성 비염환자가 2017년 기준 689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건강보험 다빈도 5위에서 3위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요구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최근 5년 간(2013년~2017년)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중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J30)’질환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진료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은 외부 항원이 코를 통해 코 점막을 자극시켜서 증상이 나타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맑은 콧물이 지속적으로 흐르고 재채기가 발작적으로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코점막이 붓는 부종이 보이고 지속적인 코막힘이 나타난다. 알레르기 질환의 특징적인 눈과 코 가려움이 동반하며 심한 경우 목 주변이 가렵다고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2017년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 질환의 10만명당 진료인원은 1만 3,530명으로 전체 건강보험 가입자의 13.5%가 진료를 받았다.

연령대별로 보면 9세 이하 38.4%, 10대 18.1% 순으로 나타났고, 20대 이상은 9~12%대의 진료 비율을 보였다.

성별로는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보다 1.2배 더 많았다.

연령별로 나누어 보면 19세 이하의 청소년에서는 여성과 남성이 비슷했으나, 30대는 여성이 1.7배, 20대는 여성이 1.5배로 큰 차이를 보였다.

이 차이는 40대 이상으로 갈수록 줄어들어 70세 이상에서는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의 0.7배로 오히려 적게 나타났다.

2017년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 연령대별ㆍ성별 10만명당 진료인원
2017년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 연령대별ㆍ성별 10만명당 진료인원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정효진 교수는 “알레르기 비염의 경우, 항원에 대한 감작이 소아기에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며, 유전적 소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유병률이 증가하게 된다.”라며, “어릴 때부터 알레르기 질환은 순차적으로 발병하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증상이 약해지며, 알레르기 피부반응의 반응 정도도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편도 아데노이드 비대, 불완전한 부비동의 발달 및 부비동염 등의 원인 인자로 인해 성인에 비해 증상이 쉽게 나타날 수 있다. 이로 인해 비염으로 진료 받는 소아 환자의 수가 타 연령대에 비해 높을 수 있다.”라고 말했다.

정효진 교수는 “여성의 경우, 생리 중이나 임신 시에 내분비계 호르몬, 특히 혈중 에스트로젠 수치의 변화에 따라 심각한 코막힘, 수양성 비루 등의 증상이 심해질 수 있으며, 임신 후기에는 더욱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라며, “폐경 후에 나타나는 호르몬 변화는 비점막의 위축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폐경 후 여성에서는 관련 증상들이 남성과 차이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최근 5년 동안 건강보험 가입자 중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2013년 597만 명에서 2017년 689만 명으로 연평균 3.7% 증가했다.

성별 진료인원은 남성이 연평균 3.9%, 여성이 3.5% 증가해 2013년 여성이 남성보다 1.2배 더 많던 것에서 2017년 1.1배로 차이가 줄어들고 있다.

연령대별 성별 인구증감을 감안한 10만명당 진료인원을 보면 9세 이하 및 10대 청소년층 진료인원이 각각 연평균 5.2%, 5.8%로 크게 증가했다.

이에 대해 정효진 교수는 “‘선진국병’이라고 불리는 알레르기 질환의 경우 보다 위생적인 환경 및 선진국형 생활양식의 변화가 환자의 증가의 유발 인자라고 보고되고 있다.”라며, “보다 위생적인 환경에서 성장하고 있는 소아 및 청소년층의 경우, 이로 인해 알레르기 질환에는 취약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청소년의 경우 물리적, 환경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증가율이 큰 것으로 보인다.”라며, “최근 미세먼지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의 악화로 비염 증상으로 내원하는 환자가 이전보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코폴립(J33)환자 중 31.5%가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J30) 환자의 동반 질환을 보면 코폴립(J33), 코및비동의기타장애(J34), 급성부비동염(J01), 천식(J45) 등 환자가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진료를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정효진 교수는 “알레르기 비염은 비점막의 알레르기 질환이며, 천식은 기관지 점막의 알레르기 질환으로, 항원이 흡인되면 호흡을 따라 비점막뿐 아니라 기관지 점막에서도 알레르기 염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따라서 천식 등의 하부 호흡기 증상이 같이 나타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정 교수는 “비염이 잘 조절되지 않아 비점막의 충혈 및 부종이 있는 경우 부비동의 환기 및 배액을 저해해 부비동염 및 코폴립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코호흡이 잘 되지 않아 구호흡을 하면서 인두염, 후두염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 진료인원은 환절기에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라며, “화분(꽃가루)에 의한 알레르기성 비염의 경우 한국은 연중 2회의 절정기가 있으며, 이는 3월부터 5월, 8월 중순부터 10월이다. 비염 증상은 대기 중 화분의 양에 따라 관계가 있으며, 건조하고 바람이 불면 화분의 양이 증가해 증상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온도의 급격한 변화도 비점막에 비특이적 자극으로 작용한다.”라며 주의를 당부했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