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언자는 아니지만 하나는 장담할 수 있다.

2021년 41대 의사협회장이 회무를 시작하고 얼마지나지 않아 “그래도 최대집 회장이 나았다.”라는 말이 나올 거라고…

과거 추무진 회장 시절에도 “지나보니 노환규 회장이 잘했다.”라는 말이 나왔고, 최대집 회장이 임기를 시작하자마자 “차라리 추무진 회장이 나았다.”라는 말이 나왔다.

불과 수개월 전에는 ‘일을 못한다’고 끌어내리려던 회장이었으면서도 말이다.

물론 “회장이 성역도 아닌데, 비판도 못하나?”라고 반박할 수 있다.

동의한다. 대상이 회장이어도 얼마든지 비판할 수 있다. 일반 회원이라면 말이다.

문제는 그런 비판이 대의원회 또는 집행부에서 활동했거나 지금도 활동중인 인사에게서 나온다는 점이다.

심지어는 일부 시도의사회장도 최대집 회장 비판에 눈에 띄게(?) 힘을 보태고 있다.

얼마 전 열린 시도의사회장단회의는 하나의 사례다.

최대집 회장이 대정부 투쟁 방향을 논의하겠다고 예고했지만 별다른 결과물을 내놓지 못했다. 정해진 것은 회원의 의견을 수렴해 투쟁방법을 정하자는 것뿐이었다.

일부 시도회장은 최대집 회장이 사전 협의를 하지 않고 SNS에 강경한 투쟁을 예고한 글을 올린 것을 비판했다고 한다. 또 투쟁 로드맵이 없다는 지적도 나왔다고 한다.

투쟁 로드맵이야 뻔하지 않은가? 회원 의견 수렴→이사회→이사회ㆍ시도의사회장단ㆍ개원의사회 연석회의→대표자대회→임시총회 순이 될 것이다.

일부 순서를 바꾸거나 건너뛸지언정 큰 틀에선 이를 벗어나지 않을 거다.

결국 투쟁 로드맵의 핵심은 각 단계를 조율하고 D-day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시도의사회장의 역할이다.

대부분 지역의사회장은 자신이 속한 지역의 의과대학을 나왔고, 지역에서 오랫동안 의사회 활동을 해왔다. 의료현안에도 밝고 인맥도 넓다.

지역의사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중앙회장에게 절대 처지지 않는다. 그들을 지역의 사령관이라고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도회장이 회원의 조직 역량을 강화하지 못했다며 의협회장을 몰아부치는 일을 심심찮게 본다. 대정부 투쟁계획을 세우지 않았고, 준비도 안됐다고 탓한다.

대정부 투쟁은 의협회장 혼자하는 게 아니다. 조직 역량 강화 또한, 의협회장뿐만 아니라 시도회장의 역할이기도 하다.

군통수권은 대통령에게 있지만 전선에서 군을 통솔하고 직접 적과 싸우는 것은 야전사령관 아닌가?

최대집 집행부는 최근 정부와의 대화 중단을 선언했다. 곧 집단행동에 대한 전 회원 여론조사도 실시한다.

무엇보다 중앙회와 지역의사회가 힘을 모아야 할 때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