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유명 브랜드 침대의 라돈 검출과 관련해, 라돈 침대를 사용한 소비자들에 대한 역학조사 및 폐암 발생위험에 대한 의학적 조사를 조속히 수행할 것을 촉구했다.

또, 국민이 생활용품으로 인한 우려 또는 초기 건강영향이 발생할 때, 이에 대해 소통하고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창구 설립도 제안했다.

대한의사협회(회장 최대집)는 25일 용산의협회관서 라돈 침대 사태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의학적 문제제기를 하는 한편, 정부에 대처방안 제시를 요구했다.

라돈은 암석, 흙 등 자연계에 존재하는 천연 방사성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토양으로부터 건물 바닥이나 갈라진 벽 틈을 통해 실내생활공간에 유입될 수 있으며, 시멘트와 같은 건축 재료 중에 함유될 수 있다.

라돈은 무색무취의 기체로 실내공간에서 생활하는 소비자가 자각하지 못하는 동안 노출이 이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생활공간에서 라돈은 기체 상태로 존재하며 인체에 노출돼 폐암을 유발할 수 있다.

음이온 배출 효과를 광고한 유명 브랜드의 침대에서 라돈 검출이 알려지면서 국민의 우려가 높아지고 해당 제품의 리콜 및 보상안이 만들어지는 등 사회적 파장이 커지고 있다.

최대집 회장은 “노출된 국민의 진료 부분, 어떻게 진료계획을 수립하고 추적관찰해야 하나 대응이 미흡해서 입장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마련했다.”라고 입장발표 배경을 밝혔다.

최 회장은 먼저 “라돈 침대 사태는 정부 관리부실에 의한 환경 재난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모나자이트라는 물질을 등록받았을 때 조사를 해서 미리 차단해야 했다.”라고 정부를 질타했다.

최 회장은 “라돈은 전체 폐암발생 원인의 2%에서 3%로 보고되고 있다. 최대 24%까지 폐암의 발병원인으로 라돈을 지목하는 연구도 있지만 고농도 라돈에 노출된 사람에 대해 어떻게 진료를 할 것인가에 대해 국제적, 국내적으로 합의된 진료지침이나 권고사항이 없다.”라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환자개인이 노출된 국민의 역학적 특성, 노출된 농도와 방사선 추정치, 해당하는 국민의 나이, 성별 등 인구학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나이가 어릴수록 방사선의 피해 정도가 커질 것이다. 또, 과거 흡연을 했었는지 흡연력이 중요하며, 동반된 질환 유무도 중요하다. 만성적인 질환을 지니고 있는지 과거 다른 암을 앓은 경력이 있는지 동반질환의 유무를 살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라돈으로 인한 노출을 억제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라돈 노출 실태를 조기에 발견하고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실내 공기질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건 축자재, 가구를 비롯한 생활용품의 라돈 방출량과 함유 성분 등을 일반 소비자가 스스로 측정하고 관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관계당국의 보다 적극적인 관리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최 회장은 “방사선 물질의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해야 하는 일차적 책임을 가진 정부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는 1차 조사와 2차 조사에서 서로 다른 결과를 내놓음으로써 국민의 불신을 일으켰다.”라며, “원안위는 1차 조사 때는 매트리스 커버만을 조사했지만 2차 조사에서는 매트리스 전체를 측정한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결국 전문성이 부족함이 드러났다.”라고 지적했다.

최 회장은 “라돈 침대에 사용된 방사성 물질인 모나자이트는 원안위가 관리해야 하는 물질이다. 결국 원안위의 해명은 방사성 물질의 사용과 관리에 대해 그동안 원안위가 얼마나 소홀했는지를 보여준다.”라며, “그동안 이 문제에 대한 대책마련 및 모니터링 체계가 전무했음을 보여주는 꼴이 됐다.”라고 꼬집었다.

의협은 ▲라돈을 비롯한 주요 유해물질 철저 관리 ▲라돈 침대 소비자에 대한 역학조사 및 폐암 발생 위험에 대한 의학적 조사 수행 ▲국민이 생활용품으로 인해 건강영향이 발생했을 때 즉각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창구 설립 ▲라돈 노출 피해자에 대해 피해규명과 보상 등을 촉구했다.

한편 의협은 이날 오후 방사선위험 물질로부터 국민을 보호해야할 1차적 책임을 가진 원자력안전위원회와 강정민 위원장을 직무유기 혐의로 대검찰청에 고발할 예정이다.

또, 의협은 내주중으로 라돈대책위원회(가칭 라돈사태진상규명과 국민건강특별위원회)를 발족해 향후 대응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