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2017년 보건산업 수출은 2016년 102억 달러 대비 14.3% 증가한 117억 달러 내외, 일자리는 2016년 79만 5,000명 대비 4.6% 증가한 83만 1,000명 내외로 전망된다고 7일 밝혔다. 보건산업 수출은 2016년 최초로 100억 달러를 돌파하고 무역수지가 흑자로 전환된 데 이어 2017년에도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2018년에는 수출 다변화, 선진시장 진출 등 질적 성장이 이뤄지면서 수출액이 16.0% 증가한 약 136억 달러에 달하는 등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7년 3분기 수출입, 4억달러 흑자
2017년 3분기까지 보건산업(의약품ㆍ의료기기ㆍ화장품) 수출액은 총 86억 달러(9조 7,000억원)로 전년 동기대비 15.5% 증가하고, 수입액은 81억 9,000만 달러(9조 3,000억원)로 5.9% 증가해 4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2017년 3분기까지 의약품 수출액은 27억 2,000만 달러(3조 1,000억원)로 전년 동기대비 12.3% 증가했으며, 수입액은 43억 6,000만 달러(4조 9,000억원)로 3.9% 증가했다.

바이오시밀러는 미국ㆍ유럽 등으로 총 의약품 수출액의 30.1%인 8억 2,000만 달러, 백신은 브라질ㆍ페루 등으로 1억 2,000만 달러, 면역글로불린은 브라질ㆍ이란ㆍ인도 등으로 5,300만 달러 수출액을 기록했다.

국가별 수출액은 미국(3억 달러), 일본(2억 9,000만 달러), 중국(2억 3,000만 달러), 브라질ㆍ헝가리(각 1억 5,000만 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바이오시밀러 수출 등의 영향으로 대 미국 의약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173.7% 증가하면서 수출 1위 대상국이 됐고, 수출 상위 20개국 중 유럽 국가가 9개국(헝가리, 크로아티아, 독일, 아일랜드, 네덜란드, 스위스, 이탈리아, 영국, 스페인)에 해당되는 등, 선진국 시장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다.

2017년 3분기까지 의료기기 수출액은 22억 6,000만 달러(2조 6,0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13.9% 증가했으며, 수입액은 26억 5,000만 달러(3조원)로 8.1% 증가했다.

의료기기 수출을 이끄는 주요품목은 초음파 영상진단기(3억 9,000만 달러, 17.0%↑), 내과용ㆍ외과용ㆍ치과용ㆍ수의용 진단기기(2억 3,000만 달러, 43.7%↑), 정형외과용 기기(2억 달러, 34.6%↑) 등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수출액은 미국(3억 9,000만 달러), 중국(3억 4,000만 달러), 일본(1억 8,000만 달러), 독일(1억 1,000만 달러), 인도(8,000만 달러) 순이다.

수출 상위국가 중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이 큰 국가는 터키(63.1%), 인도네시아(56.9%), 브라질(53.7%), 인도(44.4%), 러시아(40.2%)로 나타났다. 터키의 경우 의료기기 국제입찰 및 의료기기 전시회에서 이뤄진 수출계약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경영ㆍ일자리 성과는?
2017년 3분기까지 보건산업 상장기업(149개사)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한 21조 6,000억원, 연구개발비는 전년 동기대비 1.2% 증가한 1.2조원으로 나타났다.

2017년 3분기까지 상장 제약기업(95개사)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8% 증가한 11조 9,000억원, 연구개발비는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한 9,245억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장 혁신형 제약기업(33개사)과 제약 벤처기업(23개사)의 연구개발비는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6%, 27.2% 증가했다.

2017년 3분기까지 상장 의료기기기업(33개사)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9.9% 증가한 1조 7,000억원, 연구개발비는 전년 동기 대비 7.0% 증가한 1,247억원으로 나타났다. 상장 의료기기 벤처기업(17개사)의 연구개발비는 전년 동기 대비 0.7% 증가했다.

또한 2017년 3분기까지 의료서비스를 포함한 보건산업 일자리는 82만 4,000명으로, 2016년 말(79만 5,000명) 대비 3만명 증가(3.7%)했다.

보건제조산업인 제약ㆍ의료기기ㆍ화장품 일자리는 14만 2,000명으로, 지난해 말(13만 7,000명)보다 3.6%(5,000명) 증가했다.

부문별로는 제약산업 일자리가 6만 4,000명으로 지난해 말 대비 2.9% 증가했고, 의료기기산업 일자리는 4만 5,000명으로 지난해 말 대비 4.5%, 화장품산업 일자리는 3만 3,000명으로 지난해 말 대비 3.8% 증가했다.

병ㆍ의원 등 의료서비스 일자리는 지난해 말(65만 7,000명) 대비 3.8% 증가해 68만 2,000명으로 늘었다.

복지부는 전 분야에서 고르게 일자리가 늘어, 보건산업이 성장하면 일자리도 함께 창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전했다.

▽2017년 연말 기준 예상
2017년 3분기 성과와 산업계ㆍ전문가 패널조사 결과 등을 종합할 때, 2017년 연말까지 보건산업 수출액은 2016년 102억 달러 대비 14.3% 증가한 117억달러 내외, 수입액은 6.0% 증가한 107억달러 내외로 예상된다.

2016년 최초로 무역수지가 흑자(1억달러)로 전환된 이후, 흑자추세가 지속돼 2017년에는 무역수지 흑자가 10억달러 내외로 확대될 전망이다.

부문별 수출액은 의약품 35억 9,000만 달러(15.3% 증가), 의료기기 32억 2,000만 달러(10.2% 증가), 화장품 48억 8,000만 달러(16.3% 증가)로 내외로 예상된다.

2017년 연말 기준 보건산업 관련 기업의 매출액은 2016년 52조 2,000억원(650개 상장ㆍ외감기업 기준)에서 4.9% 증가한 약 54조 7,000억원 수준, 생산액은 2016년 37조 7,000억원에서 7.9% 증가한 약 40조 7,000억원 수준, 일자리는 2016년 79만 5,000명 대비 3만 6,000명(4.6%) 증가한 83만 1,000명으로 예상된다.

보건제조산업인 제약ㆍ의료기기ㆍ화장품 일자리는 2016년 13만 7,000명 대비 6,000명 증가한 14만 3,000명으로, 의료서비스 일자리는 2016년 65만 7,000명 대비 3만명 증가한 68만 7,000명으로 전망된다.

▽2018년, 양적 성장서 질적 성장으로 발전할 것
2018년에도 보건산업의 성장세는 지속되면서 선진시장 진출과 수출국 다변화 등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7년 대비 보건산업 수출액은 16.0% 증가한 136억 달러, 수입액은 4.5% 증가한 112억 달러 수준, 무역수지 흑자는 24억 달러 수준으로 전망된다.

제약의 경우 2017년 미국ㆍ유럽 허가를 획득한 바이오의약품의 수출이 본격화되면서 수출액이 2017년 대비 13.4% 증가한 41억 달러로 확대되고, 수입액은 3.0% 증가한 59억 달러 수준으로 전망된다.

의료기기는 중국ㆍ브라질ㆍ베트남 등 신흥국 의료시장 확대, 초음파 영상 진단장치와 치과용 임플란트 등의 강세가 이어지면서 수출액은 2017년 대비 10.1% 증가한 35억 달러, 수입액은 7.0% 증가한 36억달러로 전망된다.

또한 주요 제약사의 글로벌 임상시험 결과 가시화, 중국인 관광객 유입 회복, 보건산업 시장진출 지원 확대 등으로 2017년 대비 매출액은 9.0%, 생산액은 9.6%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연구개발 인력 확대, 바이오시밀러 생산시설 확대에 따른 증원, 일자리 정책 등의 영향으로 의료서비스를 포함한 전체 보건산업 일자리는 2017년 83만 1,000명에서 2018년 약 86만명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각국의 보호무역 정책 심화, 중국산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면서 국산 제품의 대체재로 부상할 수 있는 점 등 변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복지부 관계자는 “보건산업의 성과를 가속화하고, 혁신성장의 핵심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정부도 혁신적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과 정책펀드, 수출 등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라며, “4차산업혁명위원회에 설치 예정인 헬스케어특별위원회 등을 통해서도 미래 보건산업의 발전방향을 적극 논의하고, 정책에 반영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