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정지 환자 생존율이 2.4%에 불과해 응급처지 보완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가족부(장관 전재희)는 심정지 및 심뇌혈관질환의 발생규모, 특성 등에 대한 2008년 심뇌혈관질환 조사감시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조사감시 결과에 따르면 심정지 환자는 인구 10만명 당 40~42명이 발생하며, 공공장소(26.6%) 보다 가정(58.0%)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심정지 생존율은 2.4%(사망 93.8%, 미상 3.8%)로 미국 8.4%(’06~07’), 일본 10.2%(’07)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며, 구급차 도착시간(7.8), 병원 이송시간(24.5) 등은 양호한 반면,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실시율(1.4%)과 구급대원의 자동제세동기 실시율(9.4%) 등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기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가 회복률이 높게 나타나 심폐소생술 실시 여부가 중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심정지의 주요 원인질환인 심근경색증 등록자료 분석결과 8.1%의 환자가 사망했는데, 환자 발생 시 119구급차를 이용한 경우가 22.6%에 불과하고, 타 이송수단을 선택한 경우 119구급차(88)에 비해 3배 이상(241) 지연되는 결과가 나타나 이송수단 선택에 문제가 있으며, 의료기관에서 관상동맥 중재술이 적절히 시행된 환자들은 47.9%로 병원 내에서 신속한 치료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주요 원인질환인 뇌졸중의 경우 7.5%의 환자가 사망했으며, 중증 장애가 나타나는 비율은 29.8%에 달했다.

 

특히 증상발생 후 119 신고까지의 시간이 오래 걸려 1시간 이내가 51.8%에 불과했으며, 119구급차 이용률도 30.6%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증상 발생 후 응급실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7시간으로, 치료 가능한 기준시간인 3시간 이내가 33.8%에 불과하고, 6시간 이상도 52.8%에 달했다.

 

복지부는 심정지 및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을 감소시키기 위해 국민들의 대응능력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분석하고, 응급처지에 대한 교육과 홍보 예산을 확대 편성키로 하는 한편, 심정지 환자 발생 시 일반인도 쉽게 쓸 수 있는 자동 제세동기를 아파트와 공공장소 등에 설치하고 자원봉사자를 교육하는 시범사업을 도입해 향후 전국으로 확대키로 했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