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제약산업이 미래 신성장동력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제약산업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는 여전히 낮은 편이다.

국민의 이목을 끄는 제약산업 관련 뉴스의 대부분은 비윤리적인 행위인 ‘불법 리베이트’ 소식이 주를 이룬다.

업계는 올해 역시 리베이트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 1월 불법 리베이트 혐의로 적발된 의사만 91명에 달하는 동아제약 리베이트의 첫 공판이 진행됐다. 이 사건은 현재진행형이며, 선고기일도 2015년으로 잡혀있다.

또, 3월에는 CJ제일제당 제약사업부문(현 CJ헬스케어)의 리베이트 적발 소식도 전해졌다.

반대로 신약개발, 세계시장 진출 등과 관련한 소식은 흥미를 끌지 못하는 실정이다. 신약을 개발한다고는 하나 아직까지 국민의 관심을 얻지 못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기업들과 코-프로모션이나 코-마케팅을 진행한다고 해도 이 역시 관련 업계 종사자들만의 이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제약계에 대해 국민들이 색안경을 낄 수밖에 없다. ‘제약사 영업활동은 리베이트’라는 게 공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결국 제약협회가 자체적으로 리베이트 근절을 위한 칼을 빼들었다. 제약계의 이미지 개선을 위해 윤리헌장을 선포하고 윤리강령 및 표준내규를 제정했다. 또 리베이트가 적발된 회원사에 대해 협회 차원에서 추가징계를 하겠다고 선언했다.

아무래도 후폭풍이 예상되는 ‘리베이트 투아웃제’가 시행되면서 제약계 자체적으로 리베이트 근절의 필요성을 느낀 듯하다. 즉, 리베이트를 근절하는 것만이 제약계가 살아남는 길이며, 국민신뢰를 회복하는 길이라는 점을 깨달은 것이다.

윤리경영을 하지 않을 경우, 보험급여 중지 및 삭제라는 정부의 강력한 제제를 받게 돼 제약사 존폐문제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 제약계를 움직이게 만든 것 같다.

제약계가 리베이트로 인해 퇴색된 이미지를 개선하고 제약산업이 국민건강과 생명을 다루는 중요한 산업이라는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걸음마를 뗐다.

투명한 유통질서 확립을 위해 제약계 스스로 변화를 도모하고 있는 현재, 국민들이 제약계의 자정 노력을 알 수 있을지 또 윤리경영이 정착돼 제약계의 이미지가 개선될 수 있을지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된다.

무엇보다 제약협회의 역할이 중요한 시기다. 따라서 제약협회가 윤리헌장 선포 이후 윤리경영이 정착될 수 있도록 어떠한 행동을 취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