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진료 논란이 거세지면서, 네티즌들의 온라인 설전도 불이 붙기 시작했습니다.

의료인과 환자간 원격진료를 허용하는 방안은 지난 정부에서도 추진했다가 무산된 바 있습니다. 의료계와 시민단체의 강한 반발 때문이었는데요, 박근혜 정부가 창조경제의 주요 사례로 거론하면서 원격진료 허용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밝히자 논란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네티즌들은 의료산업 활성화라는 대명제에는 공히 찬성하면서도 원격진료가 그 수단이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찬반의견이 갈렸습니다.

 
 
인터넷 포털 네이버의 yo****는 높은 성장 가능성 때문에 원격진료 허용에 찬성한다고 밝히며 정부의 추계를 인용했습니다. 정부는 2015년 원격진료 이용률이 전체 인구의 20%로 성장할 경우 이용자 수 985만 5,000명, 시장규모 2조 3,653억으로 전망했습니다.

인구 고령화와 만성 퇴행설 질환자 증가에 대해 대응하기 위해 충분히 고려해볼 만한 정책이라는 평가도 있습니다. dt****은 먼저 충분한 의료 혜택을 받기 어려운 섬지역 주민들이나 통원이 불편한 어르신들에게 서비스해보자라고 제안했습니다.

반면 의료 산업 활성화 논리에는 과장된 면이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트위터리안 ki****은 신성장 동력 찾는 거 매우 중요하다고 전제하면서도 그런데 엎어지면 코닿을 데에 병원 천지다. 원격진료가 필요한 사람은 극소수로 거의 정해져 있다. 정부 예측은 희망사항이고 의료사각지대 강조는 과장일 뿐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다른 트위터 이용자 do****는 정부가 경제효과만 이야기하는데, 초기 구축비용에 대한 이야기는 왜 없나? 라고 물었습니다. 이어 의료취약지대가 정말 있다면 공공의료를 통해 해결할 생각을 하는 게 정상인데, 정부 지출은 하지 않고 생색만 내려고 한다고 꼬집었습니다.

한 네티즌은 사람들은 의사 혼자 모든 걸 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환자에게 실상 필요한 것은 병원이라는 시스템이다. 범죄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검사 뿐만 아니라 경찰과 법원이 필요한 것과 같다는 비유로 원격진료 한계론을 제기해 공감을 자아내기도 했습니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