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의료계와 제약업계의 화두는 단연 ‘리베이트 쌍벌제’다. 그러나 국내 제약업계에서는 관행처럼 굳어온 리베이트지만 외국계 제약회사에서는 리베이트 관행이 거의 없어, 해당법안이 시행될 경우 국내 제약회사의 위축을 가져온다는 우려까지 제기됐을 정도다.

이같은 차이는 바로 오리지널 약품의 보유여부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외국 제약기업은 꾸준하고 끊임없는 신약개발을 통해 오리지널 의약품을 개발, 이를 비싼 가격에 판매하는데 반해, 국내 제약기업은 신약을 연구개발하지 않고 서로 비슷비슷한 제네릭 의약품 판매에만 치중하다 보니 리베이트 경쟁이 치열해 진다는 것이다.

또한 국내에는 700여개의 제약산업이 존재하지만 대부분 영세한 규모이며, 글로벌 제약사가 부재한 것이 현실이다.

실제로 지난 2008년 세계 1위 기업인 화이자의 매출액은 438억달러였던데 반해, 국내 1위 제약기업인 동아제약의 같은해 매출액은 5억9000만달러로, 화이자 매출액의 약 1.2%에 불과했다.

특히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용의 절대 부족과, 신약개발을 위한 인프라ㆍ연구주체간 협력ㆍ정부정책 미흡 등 국내 신약개발 사업의 문제점은 그간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정부는 부처간 투자영역을 초월한 범부처적이고, 개발 전주기를 고려한 신약개발 사업을 추진키로 하고 교육과학기술부ㆍ지식경제부,ㆍ보건복지부가 함께 하는 포괄적 시스템을 구성했다.


23일 국회 헌정기념관 대강당에서 열린 공청회에서는 이같은 사업에 대한 계획이 발표됐다.

교육과학기술부 미래원천기술과 최원호 과장은 “교과부와 지경부, 복지부 등 3개 부처가 ‘글로벌 신약개발’을 목표로, 공동으로 R&D 자금확보 및 투자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최 과장은 “‘Fail Fast, Fail Cheap’의 운영철학을 채택해 실패할 프로젝트는 빨리 골라냄으로써, 새로운 펀딩이 이뤄져 R&D 사업성과를 극대화하는 운영전략을 택했다”면서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정부와 민간이 총 1조2000억원을 투입해 2020년까지 글로벌 신약 10개 이상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정부는 기본전략을 ‘GATE(Global, Accelerate, Trans-governmental, Entrepreneurial)’로 정하고, ▲글로벌 신약개발을 타겟으로 하는 글로벌 스탠더드 방식의 R&D 추진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으로 개발 가속화 ▲부처영역 초월해 협력하는 R&D사업 ▲ROI 기준으로 프로젝트 관리 등을 내세웠다.

한편, 이번 사업추진을 위해 구성된 3개 부처로 사업단은 신약개발 연구과제 발굴과 선정평가 및 신약 연구자간 네트워킹 자리를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