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수술 받기 전 시행한 검사로 수술 후 생존율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립암센터(원장 이진수) 위암센터 김영우ㆍ박숙련 박사 연구팀은 2001년부터 2005년까지 국립암센터에서 위암으로 진단받고 위절제 수술을 받은 1,96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컴퓨터 단층촬영(CT, Computed Tomography) 검사를 이용해 위암의 병기를 측정했다.

각각의 병기에서 5년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점막에서 시작된 종양이 위벽을 침습해 들어간 정도와 위 주위의 림프절에 전이된 정도가 모두 5년 생존율에 통계적으로 비슷한 영향을 미쳤으며(p<0.001), 독립적인 예측 인자로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전에 병기가 1A기인 경우 5년 생존율은 96.0%, 1B기인 경우 84.8%, 2기 때는 74.0%, 3A기는 55.5%, 4기는 37.5% 로 측정됐다.

위암의 정확한 병기(암의 진행 정도)는 수술 후 떼어낸 위암 조직을 가지고 종양이 위벽을 얼마나 침입했는지, 림프절에 얼마나 많이 전이 되었는지, 다른 장기로 전이되었는지를 검사한 후 결정된다.

따라서 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수술 직후 자신의 병기를 알 수 없고, 조직검사 결과가 나오는 수일 후 그 결과를 알 수 있었다.

의료진은 조직검사 결과를 근거로 환자의 장기 생존율을 예측하고, 향후 치료 방법을 계획 할 수 있어 최종 진단은 수술 후 병리검사를 통해 얻어진다.

반면 수술 전 검사는 암을 진단해 그 진행 정도를 파악할 수는 있지만, 그동안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병리 결과와 비교해 병기가 정확하지 않았다(70-90%의 정확도).

장기적 생존률과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된 바가 없어, 수술 전 항암치료를 하거나 임상시험연구를 시행함에 있어 이러한 수술 전 병기를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김영우 위암센터장은 “최근 수술 전에 시행하는 선행 항암 화학 요법이나 방사선 치료 등에 대한 다양한 임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며, “그런 경우 암이 수술 전에 줄어들어 원래 그 환자가 가지고 있던 병의 정확한 정도를 알기란 불가능해 수술 후에 나오는 병리학적 병기가 가장 정확하게 환자의 예후를 예측한다고 하던 개념을 더 이상 적용할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또한 “이 연구 결과로 수술 전 임상 병기를 토대로 층화 분석을 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 수술 전 검사로 병을 완전히 치료하기 위한 절제 여부를 가늠하거나, 수술 전 항암치료 효과를 평가함에 있어 비뚤림 현상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