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표면에 불필요한 새로운 막이 생기는 망막앞막은 계속 진행할 경우 변형시 및 시력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노인성 안질환 중의 하나이다.

초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 정기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노화가 주요 요인으로 꼽히므로 40대부터는 주기적인 안저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또, 한쪽 눈에 망막앞막이 생겼다면 다른 쪽에도 향후 발병할 수 있으므로 치료 후에도 꾸준한 안과검진이 권장된다.

망막은 눈에 들어온 빛자극을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신경조직으로, 시력의 매우 중요한 부분을 담당한다. 그래서 망막에 질병이 생겨 손상되면 시력과 시야에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망막앞막은 망막, 특히 시세포가 가장 많이 밀집되어 있는 황반에 생기는 질환으로, 망막 표면에 섬유막이 생긴 후 수축하면서 망막에 주름이 생기기 때문에 망막전막, 망막주름, 황반주름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망막 앞에 생긴 막으로 인해 사물의 크기나 형태가 왜곡되어 보이거나 시력저하가 나타나는데, 막의 위치나 두께, 망막을 당기는 힘에 따라 증상의 종류와 정도에 차이가 있다.

특히 막의 위치가 중심을 벗어나 있거나 크기가 매우 작을 때, 또는 막이 중심을 덮고 있어도 두께가 얇고 당기는 힘이 약할 때는 증상이 전혀 없을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발병 여부를 모르고 있다가 건강검진이나 백내장 수술을 위한 사전검사에서 망막앞막을 발견하게 되는 경우도 많다.

뚜렷한 증상이 느껴진다면 이미 병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일 가능성이 높은데, 망막앞막이 방치되어 심한 구조적인 변형으로 망막의 기능이 상실된 경우 심한 시력저하에 이르게 될 수도 있다.

또, 한번 손상된 망막의 시세포는 본래의 상태로 재생되기 어렵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기에 발견하면 망막이 더 변형되기 전에 망막앞막을 제거하는 수술을 통해 시력저하 진행을 멈출 수 있다.

대부분의 망막앞막은 노화가 주요 요인이 되는 특발성 질환이므로, 조기 발견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안저검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므로 40대부터는 기저질환이나 의심증상이 없어도 주기적으로 안과검진을 받는 것이 권장된다.

이차적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속발성 망막앞막도 발병할 수 있으므로 눈 안에 염증이 있거나 레이저 치료나 눈 속 수술을 받은 경우, 당뇨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안내출혈을 겪은 경우라면 증상 여부에 상관없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망막앞막을 발견해 치료한 후에도 정기검진을 통해 추적관찰을 하는 것이 좋다. 한쪽 눈에 발병한 후 5년 내에 다른 한쪽 눈에서도 발견되는 경우가 13%에 이른다는 연구결과가 있기 때문이다.

눈에서 눈으로 전이되는 질환은 아니지만,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노화가 두 눈에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연달아 발생할 수 있다. 두 눈 모두에 망막앞막이 발병하는 비율은 약 20~30%로 보고되고 있다.

망막앞막이 있다고 하여 모든 환자를 수술하는 것은 아니다. 대다수의 망막앞막은 시간이 지나도 해부학적으로 진행속도가 매우 느리며, 증상이 경미하고, 시력도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망막앞막이 매우 두꺼워 구조적 변형이 심한 경우, 망막앞막이 견인에 의해 망막 두께증가가 진행하는 경우, 심한 변시증을 호소하거나 시력저하가 심한 경우 등에서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게 된다. 수술은 유리체절제술을 통해 황반을 견인하는 원인을 없애고, 망막앞막을 제거한다.

망막앞막 치료는 망막앞막의 진행을 막아 시력을 보전하는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완벽한 시력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주기적인 안저검사를 통해 변형시가 동반되거나 망막앞막이 진행하는 경우 조기에 수술을 받으면 시력을 보존할 수 있다.

주기적인 안저검사를 통해 수술 적기를 놓치지 말고, 다른 쪽 눈의 추가 발병 여부를 관찰하는 것이 눈건강을 지키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