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치료 향상을 위해 병원 전단계 환자 이송 시스템을 강화하고, 전국적인 뇌혈관질환 센터를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대한뇌졸중학회는 1일 소공동롯데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내 뇌졸중치료 현황과 문제점을 설명하고, 효과적인 뇌졸중치료를 위한 정책개선 방안을 제안했다.

뇌졸중은 갑자기 발생하는 뇌혈류 장애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뇌졸중 치료에서 골든타임은 환자의 생명과 후유장애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어 치료를 가능한 빠르게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한뇌졸중학회 이경복 정책이사
대한뇌졸중학회 이경복 정책이사

주제발표를 맡은 뇌졸중학회 이경복 정책이사는 “뇌졸중은 국내 주요 사망원인 4위 질환으로 연간 10만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라며, “전체 뇌졸중환자의 78% 이상이 60세 이상의 고령환자인 만큼,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한 대한민국에서 뇌졸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은 점차 늘 수 밖에 없다.”라고 강조했다.

이 정책이사는 “재관류치료가 가능한 뇌졸중센터로 일차 이송비율이 증가할수록 환자 사망률이 감소하는 경향이 연구에서 확이됐다며, 병원저단계에서 뇌졸중환자를 적절한 치료 기관으로 이송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2016~2018년도에 발생한 허혈성 뇌졸중환자의 약 20%는 첫번째 방문한 병원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24시간 이내에 다른 병원으로 전원돼 치료를 받았다.

뿐만 아니라 전원환자의 비율은 지역별로 편차가 컸는데, 가장 낮은 곳은 제주로 환자의 9.6%, 가장 높은 곳은 전라남도로 환자의 44.6%로 환자의 절반 가까이가 치료가 가능한 다른 병원을 찾아야 했다.

전원율이 높은 이유는 전문 인력 부족과 뇌졸중센터의 지역불균형에 있다.

강지훈 병원전단계위원장은 첫 번째 병원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환자들이 지역별로 편차가 심한 이유로, 뇌졸중 전문 의료인력의 부족 및 뇌졸중센터의 지역적 불균형 문제를 꼽았다.

지역응급의료센터는 2022년 5월 기준으로 215곳에 달하지만, 표준치료가 가능한 뇌졸중센터는 67곳 뿐이다.

구급대원이 이송 예상병원에 뇌졸중이 의심되는 환자를 사전 고지하는 비율이 98%에 달하지만, 이 정보가 뇌졸중진료 의료진에게 적절하게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뇌졸중학회는 2018년부터 뇌졸중센터 인증 사업을 진행중이다. 주요 기준은 정맥 내 혈전용해술 시행가능 여부, 뇌졸중 집중치료실 운영 등 9개 기준 21개 항목을 통해 뇌졸중 급성기 치료가 가능한지 여부다.

현재 재관류치료까지 가능한 뇌졸중센터 54곳, 일반 뇌졸중센터 13곳 등 총 67곳이 뇌졸중센터로 인증됐다.

하지만 뇌졸중센터는 서울ㆍ경기ㆍ부산 등 특정 지역에 밀집돼 있고, 소위 복합쇼핑몰 분포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뇌졸중 환자의 급성기 치료가 가능한 뇌졸중센터도 수도권에 57.1%가 집중돼 있어 지역편중이 극심한 상황이다.

학회는 뇌졸중센터 지역편중 현상 해결방안으로 ▲병원전단계 뇌졸중환자 이송 시스템 강화 ▲중증응급의료센터 기반으로 뇌혈관질환 센터 구축 ▲뇌졸중센터 인증사업 확대 등을 제시했다.

이 정책이사는 “뇌졸중은 적정 시간 내 적절한 치료를 받느냐에 따라 환자의 예후가 급격히 달라지는 급성기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전문의 부족, 뇌졸중센터 운영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지역별로 상당히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라며, “변화하는 인구 구조와 치료 환경을 반영해 병원전단계에서 적절한 기관으로 이송돼 적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인프라가 구축돼야 하며, 더불어 치료의 질 관리를 위해 자원 배분 역시 적절하게 반영돼 한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