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의 대유행에 대비하기 위해 의원급 의료기관의 재택치료 참여가 시급하다.”

대한내과의사회(회장 박근태)는 21일 약수동 소재 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원급 의료기관의 재택치료를 허용해, 병원급 의료기관과 재택진료를 분담하도록 해야한다고 밝혔다.

박근태 회장은 “오미크론 변이가 남아공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현재 세계 각국에서 델타변이를 밀어내고 우세종으로 자리잡았다.”라며, “국내 상황 역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검출율이 증가 추세이며 일부 지역에서는 이미 우세종으로 자리잡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라고 상황을 설명했다.

박 회장은 “오미크론 변이는 델타 변이보다 감염력이 높아 현재보다 기하급수적인 확진자 증가를 부를 것이고, 이는 외국 사례에서 확인됐다.”라며, “국내 상황 역시 다르지 않을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박 회장은 “현재 델타 변이 감염증과 동일한 방역 대책과 감염자 관리방식으로는 국내 의료체계가 감당하기 어렵다. 오미크론 변이의 대유행으로 인한 감염자 급증시 현재의 병원급 위주 재택진료 제도로는 늘어나는 재택진료 환자를 감당 할 수 없다.”라고 단언했다.

박 회장은 “오미크론 변이 감염의 경우, 여러 보고를 통해 기존 델타변이에 비해 임상 양상이 경미하고 중증화 빈도와 사망률은 낮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라며, “모든 환자의 관리를 위해서는 1차 의료기관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박 회장은 “1차 의료기관이 합리적인 방식의 재택진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향후 국내 의료체계 붕괴를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이미 정부에 의원급 의료기관의 재택치료 참여방안을 제안했다.”라고 밝혔다.

내과의사회가 제안한 1차 의료기관 재택치료 참여 방안은 의원과 병원이 이원화 관리하는 방식이다.

의원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토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까지 담당하고, 병원은 야간과 주말, 공휴일을 담당한다.

재택치료 수가는 주간 및 야간으로 이원화 한다.

의원 의사 1인당 30명 내외 담당하도록 하고, 의원급 간호인력은 환자 모니터링 및 전화응대를 한다.

담당 의사는 매일 정해진 시간에 환자 상태를 전화로 확인한다. 내과의사회는 기준 시간을 오전 10시와 오후 4시로 제시했다.

박 회장은 “현재 서울시의사회 주도로 자체적으로 의원급 의료기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해서 두가지 형태로 재택치료를 지원하고 있다. 당국에서 내과의사회가 제안한 의원급 의료기관 재택의료 참여방식을 3안으로 논의중이다.”라고 전했다.

서울시의사회는 다수 의원급 의료기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주간에 환자를 보고, 심야 환자는 당번제로 맡는 방안(1형)과, 1개소 의료기관이 주간에 환자를 맡고 야간에는 서울시 재택치료 센터에서 관리하는 방안(2형)으로 서울형 모델을 계획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컨소시엄 형태의 당번제 관리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서울시의사회 산하 구로구의사회가 ‘코로나19 재택치료관리 의원급 의료기관 서울형’ 모델 운영을 1월 21일 시작했는데, 참여한 7개 의원 모두 주간에 경증 및 무증상 환자를 관리하고, 야간에는 서울시의사회 산하 ‘서울시 재택치료 센터’에서 환자를 관리한다.

기자회견에 함께 한 박명하 서울시의사회장은 “당직모형은 한명이 심야대기를 해야해서 심적으로 힘들다. 20일 회의에서 이의제기를 해서 모두 서울시 재택치료 센터에서 야간에 환자를 관리하는 2형으로 변경했다.”라고 말했다.

박명하 회장은 “서울시 지원센터에 의원이 퇴근하는 저녁 6시부터 아침 9시까지 환자를 맡고, 주말ㆍ휴일도 환자를 맡아 달라고 요청했지만 거부했다.”라고 말했다.

박 회장도 “지원센터가 심야시간을 담당하기에는 인력이 부족하다. 규모가 커져야 한다.”라며, 의원과 병원의 주간ㆍ야간 관리 부담 필요성을 제기했다.

박근태 내과회장은 “의원급에서 당직을 서는 게 쉽지 않다. 일차의료기관의 재택치료 참여를 위해선 주ㆍ야간 이원화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박 회장은 “백신접종도 처음에 의원 8,000곳이 참여했지만 현재 1만 4,000곳이 참여하고 있다. 결국 다수 의원의 참여로 백신접종이 원활하게 진행됐다. 재택치료도 마찬가지다.”라고 말했다.

박 회장은 “많이 참여하면 1곳 당 관리할 환자가 줄어들어 운영이 가능하다. 1만 곳이 참여하면 7만명이 발생해도 한 곳당 10명 이내로 관리 가능하다. 수도권과 지방의 차이는 일부 있겠지만 낮에 괜찮다가 밤에 갑자기 나빠지는 경우는 드물다. 경증이라도 많은 의원급이 참여할 수 있게 해주면 의료 대혼란을 이겨낼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는 서울시의사회가 실시하는 1안 및 2안과 더불어 내과의사회가 제안한 안을 3안으로 두고 논의중인 것으로 안다.”라며, “시간이 지체되면 나중에 더 많은 인력과 비용이 필요할 수 있다. 빠른 결단을 내려 달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