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의학과 전공의 지원이 급감하면서 비뇨기질환 수요가 개원가로 이동하고 있다. 현실에 맞는 개원가 살리기 정책이 시급하다.”

대한비뇨의학과의사회 임원들이 28일 더케이호텔에서 가진 추계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서 비뇨의학과 개원가를 살려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조규선 신임회장은 “수년 전부터 전공의가 급감하면서 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대학에 스텝이 부족하다보니 지방은 공동화 현상까지 일어나고 있다. 지방 국민은 비뇨의학과 진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조 신임회장은 “전공의가 지원을 하지 않는 이유는 그들의 미래인 개원가가 밝아보이지 않아서다. 비뇨의학과로 개원해도 의사로서 자존심을 지키면서 삶을 유지할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라면서, “전공의 수당을 늘리기보다 비뇨의학과 개원의가 살아남을 수있다는 믿음을 주는 정책이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이종진 회장도 개원가에서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종진 회장은 “수도권은 상대적으로 괜찮지만 지방으로 내려가면 전문의가 아예 지원하지 않는다. 레지던트 한명도 없는 병원을 혼자 갈 수는 없다. 그러다보니 교수도 힘들어서 그만두는 악순환이 계속된다.”라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지방은 치료할 의사가 없다. 과 자체가 필수의료가 아니라 치료할 의사가 없어서 필수의료다. 개원가가 힘들고 미래가 안보이다보니 결국 전공의가 지원하지 않는다. 문제는 기승전 개원가다.”라고 주장했다.

조정호 보험이사도 “과거에는 의원급 의료기관이 전체 진료비의 60%를 차지한 적도 있었지만 최근에는 상급종합병원 진료비와 개원가 진료비 규모가 비슷하다. 경증환자도 상급종합병원에 치우치고 있다.”라며, “초음파 검사만 하기 위해서나, 약만 처방받기 위해서 큰병원을 가는 것은 사회구조로 봐서 바람직 하지 않다. 개원가의 역량을 높여서 편안하고 질좋은 진료를 가까운 곳에서 볼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라고 주문했다.

비뇨의학과 개원가 살리기를 위한 행위수가 신설 요구도 나왔다.

민승기 보험부회장은 “비뇨의학과 개원의는 중증 고난이도 수술도 많이 한다. 인구 고령화로 인해 전립선암, 요로결석, 방광암 등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데 다행히 비뇨기질환을 잘 관리해야 한다는 사회적 분위기도 조성되고 있다.”라며, 비뇨의학과 행위수가 신설을 주장했다.

민 부회장은 “흉부외과 수가 가산처럼 비뇨의학과도 처치, 수술 추가 가산이 요구된다. 비뇨의학과는 최근 10년동안 신설된 수가가 없다. 수년간 ▲남성생식기 진찰료 ▲고환크기 거소 측정 ▲정액체취료 등을 요구했는데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보건복지부가 결정해줘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남성생식기를 진료하려면 다른 공간에 가야하고 글러브도 껴야 한다. 행위나 재료가 더 들어간다. 정액체취의 경우도 독립된 다른 장소가 필요하다. 그러다 보니 소규모 의원급에는 검사실 자체가 없다. 행위나 재료가 추가로 들어가는 별도행위를 인정해줘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