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녹차 등을 통해 우리가 흔히 섭취하는 카페인이 치명적 질병인 뇌암 세포의 성장을 둔화시킨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최초로 규명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신경과학센터 이창준 박사 팀은 경상대 강상수 교수를 비롯해 서울대, 인하대, Emory Univ. 등 국내외 연구진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카페인이 뇌암 세포의 움직임과 침투성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확인했다고 1일 밝혔다.

뇌암(Glioblastoma)은 WHO 4등급의 악성 종양으로, 진단 후 평균 수명이 1년 이내인 치명적인 질병이다.

뇌암 세포는 활발한 움직임과 침투성을 갖고 있어 뇌에서 신경세포인 뉴런을 포함한 여러 세포들을 사멸시키면서 공간을 확보하고 전이가 빠르기 때문에 외과적 수술을 통해서도 완치가 불가능하며, 현재 치료제로 사용되는 Temodar은 2.5개월의 평균수명을 연장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뇌암 세포의 활동과 전이에 칼슘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칼슘 분비에 관여되어 있는 수용체는 세포 내의 소포체에 존재하고 있는 IP3R이다.

IP3R는 세 가지 형태의 소단위체로 구성돼 있으며, 연구팀은 칼슘 이미징, 침투 측정, 분자적 실험 기법, 동물 모델에서의 생존 측정 등의 다양한 첨단 기법을 이용해 IP3R3이 뇌암 세포에서 특히 많이 발현돼 있다.

카페인이 IP3R3를 선택적으로 억제해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줄이고, 활동과 전이 또한 억제한다는 것을 최초로 규명했다.

또한, 이러한 분자적 세포 기작을 동물 모델에 적용한 결과 카페인을 섭취한 군에서 뇌암 세포의 전이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며, 생존율 또한 2배 정도 증가했다고 밝혔다.

동물 모델에서 사용한 카페인의 양은 사람의 경우 하루 약 2~5잔의 커피에 포함된 양과 같은 정도이다.

이창준 박사는 “뇌암 세포의 전이에 관련된 세포 기작과 카페인이 이를 억제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힘으로써 앞으로 뇌암에 대한 훌륭한 치료성 약물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며, “향후 임상실험을 통해 효능을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내용은 국제적으로 저명한 저널인 캔서 리서치(Cancer Research)에 2월 1일자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스포커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